|
대상 | 일반인용 |
---|---|---|
작가(글) | 하랄트 벨처 | |
작가(그림) | 윤종석 | |
출판사 | 영림카디널 | |
가격 | 17,000 | |
▶ 책소개 기후변화가 불러온 사회문화적 결과들에 대한 명확한 통찰! 기후와 폭력이 어떤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풀어가는 책. 저자는 수단 내전과 같은 몇몇 사례들에서는 이러한 연관관계가 직접적이고 바로 파악이 가능하며, 내전과 장기전ㆍ테러ㆍ불법 이민ㆍ국경 분쟁ㆍ소요사태와 반란들은 기후 영향과 환경 분쟁들 사이의 연관관계가 간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며, 기후 온난화가 생활상황과 생존조건들의 전 세계적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방식으로 관찰되고 있다고 말한다. 또한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개별 국가와 사회는 물론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갈등이 야기되고, 변화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경쟁은 폭력을 통해 표출되고 있으며, 인간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무기력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식수와 토지를 둘러싼 분쟁, 인종청소, 빈곤국에서 계속되는 내전 및 끝없는 난민들의 행렬 등 이미 현실이 되어 버린 상황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그리고 이상기후는 더 이상 자연과학의 문제만이 아니라 정치ㆍ사회ㆍ문화적 문제이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계급, 종교적 신념, 그리고 자원에 대한 문제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의 공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한다. ▶ 작가소개 글쓴이 : 하랄트 벨처 Harald Welzer 괴테 인스티투트(독일문화원)가 ‘학문의 얼굴들’(faces of science)의 한 사람으로 선정한 독일의 대표적인 소장 사회심리학자이다. 현재 에센대학 문화과학연구소(KWI) 부설 학제적 기억연구 센터(Center for Interdisciplinary Memory Research) 소장을 맡고 있듯이, 그의 연구 영역은 비단 사회심리학이라는 분과학문에 그치지 않고 있다. 독일 언론 〈슈피겔〉이 ‘생산적인 통섭 정신’(produktiver Quergeist)이라 지칭할 만큼, 그는 분과학문을 넘나드는 방법론과 주제들로 탁월한 성과들을 발표했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적 기억》(2001), 《소통적 기억》(2002), 《나치즘과 홀로코스트》(2005), 《어떻게 정상인이 학살자로 되는가》(2005) 등 폭력이론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광범위한 문화적 변동의 불가피성을 주장한 《우리가 알았던 세계의 종말―기후, 미래 그리고 민주주의의 기회들》(2009) 등이 있다. ▶ 출판사 리뷰 기후변화가 사회와 국가의 안보를 위협한다 ―2008년 8월 8일자 뉴욕타임스는 미국정보당국의 정보분석 결과를 인용하여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식량부족 사태가 테러집단의 확산을 부추기고 재해를 피하려 이웃 국가로 이동하는 난민들이 국경분쟁을 일으켜 미국의 안보전략이 큰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2009년 4월 28일 노르웨이 북극권의 도시 트롬쇠에서 열린 〈멜팅 아이스(Melting Ice) 컨퍼런스〉에서 앨 고어 전 미국부통령은 얼음이 녹아 해수면이 1미터만 상승해도 1억 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지구촌 13억 인구가 살던 고향을 떠나 기후난민이 되는 사태가 금세기 내에 도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작물 재배 가능 지역과 인간의 거주 가능 지역을 변경시키고, 사막을 확장하며, 식수 부족과 홍수를 불러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 재앙의 가장 큰 원인제공자인 서유럽이나 북미 지역의 선진산업국들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미미하게 겪고 있다. 오히려 가장 심한 고통을 받는 지역은 가난한 나라들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재난 관리 능력이 취약하고 대처 능력이 없는 나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처할 능력이 없는 가난한 나라들에서는 이미 기후전쟁이 발발했으며, 환경변화와 생존 경쟁으로 인한 폭력 때문에 고향을 등진 환경난민의 숫자는 현재도 이미 2억 5천만 명이 넘는다. 그리고 2050년에 이르면, 많게는 현재의 10배에 해당하는 난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때가 되면 기존의 국제관계가 와해되어, 그동안 기후변화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던 선진산업국들까지 영향이 미치게 될 것이다. 머리말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대안1 대안2 [2010년 환경부 선정 우수환경도서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