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게시판 검색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실행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적용 과정과 결과를 반성하며 프로그램을 변화·개선시켜가는 연구 방법이다. 실행연구에서는 교육 실천 현장에서 행위당사자가 주체가 되어 개인적·사회적 삶을 탐구하고 계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지속가능발전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인 약속으로 2015년 9월 전 세계 유엔회원국가들이 모여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 목표로 구성된‘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합의하였으며 2030년까지 모든 국가들이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environmental program evaluation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란 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이행 및 결과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기반 환경교육(공동체 기반 학습)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지역기반 환경교육은 지역사회에서 환경 이슈를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학습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기반 환경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지역 사회의 맥락 안에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지역의 자연적·인문적 요소들이 어떻게 현실의 삶과 연계되는지 이해한다.
환경문제 해결 모형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model
환경문제 해결 모형은 학습자가 실제 환경문제와 쟁점 해결에 참여하는 행동 지향적이고 경험에 기반한 문제 해결 모형이다.
장소감
sense of place
장소감은 장소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감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과 장소의 경험이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감이나 애착과 같은 정서적 유대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직접적·간접적으로 장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하며 미지의 공간을 친밀한 장소로 바꿔 나간다. 낯설고 추상적인 공간이 친밀하고 구체적인 장소가 될 때, 그 지역에 대한 장소감을 갖게 된다.
자기환경화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자기환경화는 비자기 환경(자신의 환경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것)을 자기 환경(자신의 환경)으로 인식하고 본능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자기 환경은 특정 인간의 주변을 둘러싼 환경으로 직접적으로 그 인간의 관심을 유발하며, 그 변화에 본능적으로 민감하게 또는 적극적으로 반응하게 하는 환경을 지칭한다. 비자기환경은 특정 인간과 물리적인 거리가 있거나 또는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와 직접적으로 관계없다고 느끼는 환경으로 이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여 반응을 하지 않거나 소극적인 반응을 나타내게 되는 환경을 지칭한다.
환경교육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 질적 연구란 흔히 양적 연구에 대비되는 것으로서, 환경교육에 관련되는 사람(들)과 과정과 사건에 대하여 깊은 이해를 구하거나 변화를 가져오려는 목적으로 자연적인 상황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역적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를 의미한다.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UN DESD,2005-2014)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UN DESD,DESD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은 유엔이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수행을 촉구하기 위하여 2004년 UN 총회에서 지정하여 선포한 2005년부터 2014년까지의 10년을 지칭한다. 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선도기관은 유네스코(UNESCO,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로 지정되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 동안 국내외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이 수행되고 보고되었다.
우리 공동의 미래(1987)+리우회의,리우선언과 의제21(1992)
Our Common Future+Rio Conference,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1987년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에 보고된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언급하는데, “미래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구환경의 날 20주년을 기념하여 1992년에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 환경 개발 회의’에서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며, 여러 가지 국제 협약이 채택되었고 리우선언을 천명하였다.
환경교육 국제회의 또는 워크샵(베오그라드,트빌리시 등)
UN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1975년에 구 유고의 베오그라드에서 ‘국제환경교육 워크숍’이 개최되었으며 베오그라드 헌장을 채택하여 인간과 환경의 균형과 조화라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모든 사람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개발할 필요를 역설하였다. 1977년에 구소련의 트빌리시에서 개최된 ‘환경교육에 관한 정부 간 회의’ 보고서에서는 베오그라드에서 확인되었던 환경교육의 목표를 뚜렷하게 반영하였고 지금까지도 트빌리시선언은 환경교육의 개념, 영역, 역할과 목표는 현재까지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유엔인간환경회의(스톡홀름 회의)와 인간환경선언
UN Conference and Declarationon Human Environment
1972년에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인류 환경에 관한 유엔 제1차 회의’는 지구 환경 위기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13개국 대표가 모인 스톡홀름 회의의 슬로건은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였다. 유엔인간환경선언채택, ‘세계환경의 날’지정·권고를 포함한 인간환경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 유엔환경기구(UNEP)의 창설 등 환경문제의 해결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을 촉구하면서 나아가 학생들과 성인들에 대한 환경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렸다.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
Limits to Growth by the Club of Rome
현재의 성장추세가 감소되지 않는 한 환경적 대앙과 붕괴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로마클럽(The Club of Rome)의 『성장의 한계』보고서는 환경교육의 촉발로서 매우 의미가 크다. 1972년에 나온 이 보고서는 인류가 ‘지금’과 같은 삶의 방식을 고집하는 한 인류 문명은 100년밖에 존속하지 못한다고 경고하였다.
환경보전시범학교(환경교육시범학교)
environmental conservation or education model schools
학교를 중심으로 가정과 지역사회의 환경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부가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한 대표적인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이다.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전 학교급을 대상으로 예산을 지원하였으며, 학교의 여건과 특성에 맞게 차별화된 주제와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도록 유도한 것이 특징이다.
TLSF 프로그램
Teaching and Learning for Sustainable Future Programme
TLSF 프로그램은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해 교육하는 대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다. TLSF 프로그램(Teaching and Learning for Sustainable Future Programme)은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해 교육하는 대표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이다.
인비전
Envision
Envision은 미국의 중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 리더쉽팀(Leadership Team) 육성 프로그램이다. 교사들이 지역의 환경쟁점 조사활동을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해 운영하는데 필요한 환경·과학개념과 탐구기능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nvision은 강의, 워크숍, 현장실습(Field study), 멘토링, 교수학습 컨설팅 등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들로 구성된다. Envision은 실생활과 연계된 탐구중심 환경과학교육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지역환경문제에 대한 과학적 탐구과정에 교사들이 ‘과학자’로서 실제 참여하는 경험을 특히 중시한다.
글로브
Globe(Global Learning and Observations to Benefit the Environment)
Globe는 국제적인 지구환경 교육 및 연구 네트워크로서 전 세계 시민과학자들에게 지역적, 지구적 규모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과학적 연구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류의 지구 시스템과 환경에 대한 문해력(Literacy)과 책무감을 증진시키고 지구환경보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젝트 숲,물,동물
Project PLT,WET,WILD
PLT(숲), WET(물), WILD(동물), WOW(습지)는 생태계를 주제로 하면서 핵심 개념(Thematic Ideas)을 중심으로 몇 십 년 동안 현장에서 발굴, 개발, 적용하면서 다듬어진 대표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이다.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Field and Facility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이란 환경교육을 위해 활용되는 공간으로 실내와 야외공간을 통칭하며,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의식의 변화를 증진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을 말한다. 환경교육의 교육내용을 보완하고 완결하는 교육자원이며 전통적인 학습공간인 교실을 포함하여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 사용되는 수단이다. 특히 환경교육의 교수(敎授)내용 중 체험학습이 주로 이루어지는 곳이다.
환경교육 교구
Environment Education Equipments
환경교육 교구는 환경교육 활동에서 학습할 내용과 활동을 연결하는 구체성을 가진 사물로서,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제시하는데 쓰이는 물품을 의미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