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 | 중/고등학생용 |
---|---|---|
작가(글) | 원종관, 이문원, 진명식, 최무장, 정병호 | |
작가(그림) | - | |
출판사 | 지성사 | |
가격 | 17,000 | |
▶ 책소개
태고의 숨결이 살아있는 물길, 한탄강을 따라 떠나는 탐사 여행 20억 년 전인 선캄브리아시대에서부터 중생대를 거쳐 신생대 지층까지 다양한 지질학적 특성을 지닌 한탕강 유역의 지질과 함께 역사를 살펴보고 있다. 680미터 고지에서 서해에 이르기까지 한탄강의 물줄기를 따라 가며 만나는 다양한 암석과 지질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구석기·신석기·청동기 시대의 문화와 역사까지 한번에 공부할 수 있다. 학생이나 일반인들이 직접 답사할 수 있도록 한탄강 유역에서 비교적 찾아가기 편하고, 재미있는 사실들이 숨 쉬는 곳을 중심으로 지질학과 고고학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광물이나 암석의 이름 등 어려운 지질 관련 용어를 이해하기 쉽도록 가능한 한 쉬운 용어로 설명하였고, 더불어 복잡한 지질학적 특징 등은 사진과 삽화를 곁들여 직접 탐사 여행을 하는 것처럼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새로운 장소에 갈 때마다 그곳의 특징이나 앞서 답사한 지역과의 연관성 들을 독자와 함께 생각해 보는‘함께 해보기’ 코너가 있어 현장감을 높였다. 한탄강 유역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생생하게 체험하도록 도와 줄 것이다. ▶ 작가소개 글쓴이 : 원종관 서울대학교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건국대학교에서 ‘제주도의 화산’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명예교수이며, 우리나라의 지질도를 여러 편 집필했고 한탄강 유역에 대한 많은 연구를 했다. ▶ 목차 머리말 제1부 한탄강으로 떠나기 전에 암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지각이 움직인 증거를 찾아서 지질시대로의 여행 한탄강은 얼마나 클까? 한탄강은 지질학의 보물 창고 한탄강 유역의 고고학 이제 가방을 메고 한탄강으로 출발! 제2부 한탄강을 만나다 1. 한탄강 상류 1) 오리산 화산 : 화산과 용암대지의 형성 2) 아이스크림고지 : 스텝토의 형성 3) 직탕폭포 : 현무암이 만든 폭포와 현무암의 특징 4) 순담계곡 : 화강암 계곡의 특징 5) 옹장굴 : 화강암과 현무암 사이의 동굴 6) 대교천 협곡 : 용암계곡의 특징 7) 삼부연폭포 : 화강암이 만든 폭포 2. 한탄강 중류 1) 재인폭포 : 용암호에서 태어난 폭포 2) 고문리 양수장 : 옛 한탄강과 현재의 한탄강이 만나는 곳 3) 동막골 유원지 : 중생대 화산활동의 흔적 4) 동막골 풍혈 : 풍혈의 생성 5) 선곡리 용암 : 한탄강 용암의 역류 현장 6) 자살바위 : 여러 지질시대의 암석 박물관 7) 왕림교와 풍천관광농원 : 용암과 부정합 8) 대전리 길가 : 중생대 퇴적층과 단층 파쇄대 9) 백의리 : 용암호와 백의리층 10) 양원리 하천 : 전단작용과 압쇄편마암 11) 양원리 석탄 : 중생대 대동계 퇴적층 12) 영로교 아래 : 선캄브리아시대와 신생대의 만남 3. 한탄강 하류 1) 어유지리 : 한탄강과 임진강의 만남 2) 마지리 : 중생대 대동계 퇴적암 3) 율곡리 : 한탄강 현무암의 최남단 4. 한탄강 유역의 고고학 유적지 1) 한탄강과 임진강의 선사 유적지 2) 한탄강의 고인돌 : 통현리, 양원리, 학곡리 3) 한탄강의 고구려 성지 : 은대리성, 호로고루성, 당포성 제3부 한탄강을 다녀와서… 한탄강을 다녀와서… 한탄강 상류_1 한탄강 상류_2 한탄강 중류_1 한탄강 중류_2 한탄강 하류_1 한탄강 유역의 고고학 유적지_1 임진강-한탄강 하곡의 지질 단위 및 시대 함께해보기 정답 [2010년 환경부 선정 우수환경도서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