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우수환경도서

소녀, 적정기술을 탐하다

우수환경도서 상세로 대상, 작가(글), 작가(그림), 출판사, 가격에 대한 정보 제공

소녀, 적정기술을 탐하다

대상 중/고등학생용
작가(글) 조승연
작가(그림) -
출판사 뜨인돌
가격 12,000원

책소개

『소녀 적정기술을 탐하다』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3년 《우수저작 및 출판지원》 사업 당선작이다. 저자 승연이는 중학교 때 적정기술이라는 생경한 용어를 알게 되고, 세계의 90%가 기술에 소외된 채 불평등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이 책은 저자가 그 대안인 따뜻한 기술, ‘적정기술’에 마음을 빼앗긴 후로 적정기술을 탐하고, 탐닉하고, 탐구하는 동안 얻은 정보, 깨달은 이야기를 발랄하게 담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조승연은 “승연아, 적정기술이 뭐야~?” “나도 몰라.” 3년 전이라면 1초 만에 끝냈을 답을, 이제는 날밤을 새우며 이야기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하루에도 열두 번씩 꿈 바꾸기’가 전공이자 취미였으나 중앙기독중학교 재학 당시, 포항공대 장수영 교수님의 특강을 듣다가 거짓말같이 그 녀석의 포로가 된다. 상대는, 그 이름도 생소한 적정기술.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이라는 정의는, 왕성한 지적 호기심과 대책 없는 도전정신을 몹시 자극했고 ‘배워서 남 주자’는 평소 철학(?)과도 맞아떨어졌다. 모처럼 찾은 꿈을 개꿈으로 만들지 않기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은 다 했다. 적정기술 관련 책 읽기, 장애를 가진 친구를 위해 적정기술틱한 깔창 제작하기는 물론, 특유의 애교와 친화력과 총기로 장수영 교수님을 공략, 갖가지 궁금증을 해소해 나갔다. 그 과정에서 발바닥에 땀나도록 쑤시고 다니지 않았더라면 경험하지 못했을 각종 행사에 기웃거릴 수 있는 특전도 얻었다. 용인외고 입학도 그 덤이라 믿고 있다. 그 흔한 영어 공인점수 하나 없이 꿈에 대한 소개만으로 외고에 당당히 합격, 주위 엄마들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야무지게 자기 길을 간다고 해서 진지하고 무거운 캐릭터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낯선 기숙사 생활과 선행학습이 전무하다는 현실에 긴장하다가도, 늦은 밤 쓰레기 소각장 앞에서 치킨 배달원과 접촉, 사감님에게 들키지 않고 치킨을 배송한다는 미션을 완수하며 짜릿해하는 말괄량이 여학생이다.
승연이는 오늘밤도 치킨을 뜯으며 어떻게 하면 또래 친구들에게 적정기술을 잘 알릴 수 있을지 설렘 가득한 생각을 이어간다. 하나의 방편으로 책을 내기로 했지만 눈앞에 닥친 중간고사에 정신이 혼미해지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열일곱 살 청소년이다.


출판사 리뷰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꿈이 자란다”

불평등한 삶을 해결하는 따뜻한 기술, 적정기술.
생경해서 어렵게만 느껴졌던 적정기술을 이제 쉽고 친근하게 만날 수 있다.
초보자의 입장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풀어낸 최초의 적정기술 대중서

이 책의 저자는 용인외고 1학년 조승연 학생이다. 승연이는 중학교 때 적정기술이라는 생경한 용어를 알게 되고, 세계의 90%가 기술에 소외된 채 불평등한 삶을 살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이 책은 저자가 그 대안인 따뜻한 기술, ‘적정기술’에 마음을 빼앗긴 후로 적정기술을 탐하고, 탐닉하고, 탐구하는 동안 얻은 정보, 깨달은 이야기를 발랄하게 담고 있다.
처음엔 획일화 된 교육 현장에서 자기만의 길을 찾아 종횡무진 내달리는 저자의 열정에 놀랄 것이고, 책을 덮을 즈음이면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는 물음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3년 《우수저작 및 출판지원》 사업 당선작 **

아직은 낯설기만 한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이 용어는 저개발국·저소득층의 삶을 향상하기 위한 기술을 지칭한다. ‘착한 기술’ ‘따뜻한 기술’로도 불린다.
사람들은 적정기술의 기원을 간디에서 찾는다. 간디는 영국이 인도의 목화를 수입해 옷을 만든 뒤 비싸게 되팔던 것에 맞서 물레로 옷 짓는 기술을 전파했다. 적정기술은 경제학자 E. F. 슈마허가 『작은 것이 아름답다』(1973)를 발간하면서부터 대중들에게 알려졌고, 지금은 폴 폴락이 대표 주자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를 배려하는 적정기술은 과학기술의 일종이라기보다 삶 그 자체이고, 삶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교보문고 홈페이지
 

[2014년 환경부 선정 우수환경도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