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우수환경도서

고등학생의 국내 동물원 평가 보고서

우수환경도서 상세로 대상, 작가(글), 작가(그림), 출판사, 가격에 대한 정보 제공

고등학생의 국내 동물원 평가 보고서

대상 일반인용
작가(글) 최혁준
작가(그림) 최혁준
출판사 책공장더불어
가격 16,000원

▶ 책소개

인간이 만든 ‘도시의 야생동물 서식지’ 동물원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달성공원·대전 오월드 주랜드·서울동물원·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나라·에버랜드 주토피아·우치공원 동물원·전주동물원·청주동물원·테마동물원 쥬쥬. 국내 9개 주요 동물원에 대한 평가를 시작한 이유, 평가 기준을 밝히고 기준에 근거해서 동물원의 문제를 하나하나 짚어나간다. 
이 책은 종보전, 동물복지, 동물에 대한 교육과 연구 등 현대 동물원의 역할에 대한 완벽한 보고서로 인간이 만든 ‘도시의 야생동물 서식지’ 동물원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조목조목 살핀다. 현재 한국의 동물원을 고찰하고 나서야 우리는 미래의 진보적 동물원에 대해서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자소개

저자 : 최혁준
청주 세광고등학교 재학 기간 동안 자체적으로 국내 주요 동물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이 책으로 만들었다. 중학교 3학년이었던 2011년부터 야생동물과 반려동물을 주제로 네이버 블로그 ‘爬蟲(http://blog.naver.com/96spore)’을 운영하며 동물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바른 인식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책과 블로그 활동 등의 비교과 활동을 모아 201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수의예과, 생물학과, 동물자원과학과 등에 지원하였으나 전부 1차 서류전형에서부터 탈락하여 학위를 가진 진짜 전문가로 거듭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학교 때부터 녹색이구아나 정치(♀), 아프리카민며느리발톱거북 사하라(♂), 왕관앵무 띵똥(♂)과 함께 살고 있다. 책에 들어가는 글과 사진, 그림을 모두 직접 작업했다.

▶ 출판사 리뷰

한국 동물원은 현대 동물원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
감성적이고 감정적인 접근을 배제한 과학적 평가서 

동물원은 현대인에게 무슨 의미일까? 아마도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동물원은 위락 시설일 뿐이다. 하지만 세계의 많은 동물원은 스스로를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물론 위락 시설로도 존재하지만 현대의 동물원은 종보전에 대한 의무는 물론, 야생동물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을 사람들에게 교육하고, 동물의 복지를 챙기는 것을 최우선 의무로 하는 시설로 동물원을 정의한다. 그렇다면 과연 국내 동물원은 그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는가?
이 책은 그 질문에 대한 2014년 한국 동물원의 대답이다. 한 번도 국내 동물원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없는 현실에서 이 책은 그 첫 평가서이다. 고등학생이 쓴 글을 전문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느냐고 물을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 학자, 동물보호운동단체 등 국내 어느 전문가도 이런 작업을 해내지 못했다. 동물원 평가는 각 동물의 야생에서의 생활사를 정확히 알아야 그들이 동물원에서 빼앗긴 것이 무엇인지, 정형행동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는데 저자는 이것을 누구보다도 철저한 자료를 바탕으로 충실하게 검증했다. 그 동안 동물원에 대한 기사, 보고서 등이 한계가 있었던 것은 평가 동물의 종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문인데 동물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저자가 이를 보완했다. 감성적이고 감정적인 접근을 배제하고 과학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또한 학생이기에 ‘동물원은 교육적인 공간’이라는 동물원의 주장에 대해 더욱 냉철한 평가를 할 수 있었다.
저자는 평가 대상이 된 국내 9개 주요 동물원에 엄중한 잣대를 들이댔다. 그렇다고 이 책이 무조건적으로 동물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 객관적인 관람객의 입장으로 동물원 동물을 관찰하고, 과학의 눈으로 문제의 원인을 찾았다. 또한 동물원을 단지 위락 시설로 받아들여서 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만지고, 타고, 소리를 질러 자극하는 저급한 관람 문화도 꼬집는다. 소비자가 변하지 않으면 동물원의 변화도 바라기 어렵기 때문이다. 
동물원 속 동물이 행복하지 않다면 그곳을 찾은 관람객도 즐겁지 않다. 동물과 관람객이 모두 행복한 동물원으로의 변화는 현재 동물원을 고찰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하고, 이 책이 그 시작점이 될 것이다.

 

*출처 : yes24 홈페이지
 
[2016년 환경부 선정 우수환경도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