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문제,환경쟁점,환경현상

용어, 영문
용어 환경문제,환경쟁점,환경현상
영문 environmental problems,environmental issues,environmental phenomena

일반적인 개념 정의

환경문제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바람직한 환경의 가치가 훼손되거나 위협받는 상황을 의미하며, 환정책기본법이나 환경학에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환경오염환경훼손을 아우른다.

환경오염과 환경훼손: 환경학과 환경정책기본법 상의 용어

환경정책기본법(법률 제14494) 3조는 환경오염환경훼손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되거나 훼손된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쾌적한 환경 상태를 유지조성하기 위한 행위를 환경보전으로 정의한다. 동 법은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환경오염: 사업 활동 및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해양오염, 방사능오염, 소음진동, 악취, 일조 방해,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등으로서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환경훼손: 야생동식물의 남획 및 그 서식지의 파괴, 생태계 질서의 교란, 자연경관의 훼손, 표토의 유실 등으로 자연환경의 본래적 기능에 중대한 손상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환경문제는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인간의 활동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어 바람직한 상태보다 악화된 현상을 폭넓게 의미한다. ‘환경문제가 아니라 보다 구체화된 용어를 적용하는 것은 환경학 분야에서 일반적이다. 한 예로, 환경지리학에서는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human impact on environmental change)를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과 환경교란(environmental disturbance)으로 구분한다. 오염물질의 접촉으로 인한 환경악화를 의미하는 환경오염과 환경의 생태적, 물리적 기능 저하를 의미하는 환경교란은 환경문제의 두 가지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환경오염과 환경교란은 시공간적으로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환경문제를 구분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박동원과 손명원, 1989).

 

환경문제와 환경쟁점: 환경쟁점학습을 위한 구분

일반적으로 쟁점(issues)과 문제(problems)는 섞어서 쓰일 때가 많지만 그 의미를 구분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나뉘어져있고, 그 논의와 결정에 사회 구성원 다수가 참여하고 있으며, 선택 가능한 여러 대안 중에서 어느 하나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를 쟁점(issues)이라고 한다(차경수, 1999).

환경문제와 환경쟁점을 구분하는 것은 환경교육 교수학습방법의 하나인 환경쟁점학습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인간과 환경의 관련성에 대한 개념 중 환경쟁점은 환경사건 및 환경문제와 구분할 수 있다(Hungerford et al., 2003).

 

환경사건(environmental events): 지구 환경에서 환경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거나 주목을 받을 만한 일로서 환경의 자연적 변화와 인위적 변화 모두를 포함한다. , 화산 폭발, 홍수, 지진과 같은 자연적 사건과 인간의 부주의로 인한 산불과 같은 인위적 사건들이 해당된다.

 

환경문제(environmental problems):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바람직한 환경의 가치가 위험에 처하거나 위협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환경사건이 발생하여 인간의 물질적, 경제적 행복의 일부를 위협하여 삶의 질이 저하된다면 이를 환경문제로 볼 수 있다.

 

환경쟁점(environmental issues): 어떤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 방식에 대한 견해에 있어 개인 또는 집단 간에 의견이 불일치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환경문제는 그 해결책에 대한 논쟁을 동반하고 하나의 해결 방식에 이해당사자 모두가 동의하지 않기 마련이므로 이런 경우를 환경쟁점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쟁점은 하나의 환경사건에 대해서 인간의 신념과 가치에 따라 다른 사회적, 생태적 의미가 부여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에 환경쟁점학습에서는 환경문제와 환경쟁점을 구분하는 절차와 방식을 주요한 학습의 내용으로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쟁점학습 등 특정한 목적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대부분의 환경문제가 환경쟁점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둘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기도 한다. 권혜선과 윤순진(2013)은 오늘날 환경문제의 성격 자체가 경제, 사회, 정치, 자연환경 영역 등에서 많은 사람들의 가치와 이해관계가 상충되어 나타나는 환경쟁점이라 보고, 해당 연구에서 환경쟁점과 환경문제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였다.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교육의 역할: 개인의 행동변화를 넘어서

환경교육은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환경위기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자각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오랫동안 환경교육은 환경문제의 해결에 중요한 초점을 두었고, 산성비, 기후변화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다루어 왔다. 그런데 환경교육을 통해 책임 있는 환경행동을 하는 시민을 길러내고 이를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지만, (어린 학습자의) 개인적인 실천이 환경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이에 김찬국(2013)은 환경교육이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근본적이고 차별적인 해결방식임에는 틀림없지만, 특정한 환경문제를 가장 효과적(effective)’이거나 효율적(efficient)’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제시한 행동의 목록을 그대로 따르는 개인의 실천을 의미하지 않다고 보았다. 또한 환경문제의 해결에 직접 기여하지 않더라도 환경교육이 갖는 교육적의미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특히 환경교육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개인의 행동 변화에 대한 강조는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사회 체제에 대한 문제 제기를 배제하고 주어진 사회 구조 안에서 가능한 개인의 실천으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성층권에서의 오존층 파괴 문제의 해결이 과거 우리가 스프레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직면한 지구적 환경문제인 지구기후변화를 초등학생들의 행동으로 해결될 것이라고 믿는다면 환경교육의 의미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김찬국, 2013). Hart가 지적한 것처럼 환경문제를 다룰 때 하나의 유일한 해법이 존재한다거나, 이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이 존재하는 것처럼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Hart et al., 1999). 이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환경교육의 역할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환경문제, 환경쟁점, 환경현상: 환경교육의 역할과 의미의 다양성

환경교육은 교육 외부의 요구로부터 출발하여 교육 내부에 반영되었다(남상준, 1995).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교육은 환경학의 발전, 환경적 상황 변화, 교육의 관점 변화 등을 반영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교육을 학습을 통해 사람을 길러내는 과정이라고 볼 때, 환경교육의 목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통한 환경문제의 해결은 환경교육의 다양한 역할 중 하나이지만 전부이긴 어렵다. 직접적인 행동 변화와 같이 가시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아도 학습자 내부에서 생겨나는 중요한 인식, 관점, 사고, 역량의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한 환경교육의 결과는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환경문제를 다루는 환경교육의 방식에 대한 재검토를 요청한다(김찬국, 2013).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근본적이고 차별적인 해결방식으로서 환경교육은 특정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인 경우보다는 환경문제를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을 갖게 하여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재설정하도록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에 환경교육은 학습자들을 환경문제의 해결 과정에 참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환경쟁점에 대한 숙고와 협의 과정이나 환경현상(environmental phenomena)에 대한 이해와 탐구 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는 의미를 함께 갖는다(그림 1).     

                        그림1 .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의 관계 재고찰: 환경문제, 환경쟁점, 환경현상(김찬국, 2013) 

                    그림1 . 환경문제와 환경교육의 관계 재고찰: 환경문제, 환경쟁점, 환경현상(김찬국, 2013)

환경문제를 둘러싼 자연과학적 현상에 대한 탐구와 문제 발생과 해결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과학적 현상에 대한 탐구는 환경 또는 환경문제를 어떠한 눈으로 바라보아야 할지에 대한 관점을 갖추는 데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논의와 의견의 대립, 다른 견해가 존재하는 환경쟁점이라는 측면은 환경문제의 해결에 어떠한 사회적 변화가 요청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환경을 문제로만 바라보지 않고, ‘쟁점또는 현상등으로 다양하게 보는 관점이 환경교육 연구와 실천 안에 깊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

 

환경문제: 맺음말

환경문제는 환정정책기본법이나 환경학에서 구분하는 환경오염환경훼손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환경교육이 본격화되는 계기는 환경문제의 심화로 인한 환경위기에 대한 지구적 각성이라고 볼 수 있다. 환경교육에서는 환경문제와 환경쟁점을 구분하여 적용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다. 아울러 환경교육의 본질적 역할을 고려할 때, 환경을 문제로만 바라보지 않고 환경현상 또는 환경쟁점이라는 관점에서 함께 적용하는 환경교육 연구와 실천이 요청된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위기(생태위기): 환경문제의 심화에 대한 지구적 각성은 이를 단순한 문제(problems)가 아니라 위기(crisis)로 바라보게 하였고 환경위기’, ‘생태위기’, ‘생태학적 위기’, ‘지구환경위기등의 표현을 통해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지나친 위기의식을 강조하는 환경교육 방식의 의미와 효과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존재한다.

 

참고문헌

권혜선, 윤순진(2013) 환경쟁점의 해석과 환경도덕 민감성 연구. 윤리교육연구, 29, 323-360.

김찬국(2013) 성층권 오존층 고갈 사례를 통해본 환경교육의 역할과 의미환경교육, 26(1), 94-110.

남상준(1995) 환경교육론. 대학사.

박동원, 손명원(1989) 환경지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차경수(1999) 21세기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 학문사.

Hart, P., Jickling, B., & Kool, R. (1999) Starting points: Questions of qual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1), 104-124.

Hungerford, H. R., Volk, T. L., Ramsey, J. M., Litherland, R. A. & Peyton, R. B. (2003)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environmental issues and actions: Designed as a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pproach to local, regional, and international issues, Stipes Publishing L.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