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사업운영자료

[대한민국 환경교육 프로그램]쓰레기 없는 자원순환학교

사업운영자료 상세로 발간년도, 과제운영자, E-Mail, 운영기관, 작성일자 정보 제공
발간년도
과제운영자 E-Mail
운영기관 작성일자 2021-09-03 09:16:20

쓰레기 없는 자원순환학교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유형 실내체험 + 강좌형
참가대상 및 인원 중·고등학생 15명
진행일정 4월 ~ 10월
참가비용 무료
활동장소 신청학교 교실
교육시간 1회 4시간, 총 3회(비숙박)
교육목적
- 교사와 학생이 주체가 되어 쓰레기 Zero! 자원순환학교 만들기
-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학교 내의 쓰레기를 감량할 수 있는 기회 마련
교육내용
환경과 자원순환의 이해를 위한 강의 (선택분야 강의) - 자원순환의 이해 : 자원순환에 대한 개념 및 분리배출에 인식 - 1회용품과 과대포장 : 1회용품 종류 및 포장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전자폐기물 : 전자폐기물 처리현황, 유해성, 올바른 처리방법 - 플라스틱 폐기물 :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 분리배출 및 재활용 방법 - 폐기물 에너지 : 폐기물 및 신재생 에너지의 현황, 발전방향 소개 및 토론 - 음식물 쓰레기 :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 방법,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
교내 쓰레기 문제점 해결을 위한 실습(학교에 따라 적용) - 분리배출 모니터링 1: 교실 일반 쓰레기통 내 재활용가능자원 성상파악,
분리배출 수거함 종류, 분리배출 정도 파악 분리배출 모니터링2 : 집하장 내 분리배출 관련시설 확인, 분리배출 수거 종류,
분리배출 정도 등 학교 분리배출 체계 점검 - 과대포장 모니터링 : 제과류 포장사이즈와 제과용량의 비율 측정
- 분리배출 인식도 설문조사 : 학생 개인별 분리배출 실천도 평가 -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교내 홍보 활동 : 분리배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등
강의 주제에 맞춰 캠페인, 모니터링 후 느낀점 공유 활동
관련교과 단원
중학교 -
환경(I~V) 과학 (2)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1~7)
쓰레기를 자원으로 쓰는 방법 등 자극과 반응, 환경 호르몬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 자원순환 사회 구현을 위해 할수 있는 것을 찾아 참여 등 에너지와 환경,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한 에너지 관리
중학교 고등학교
과학(6)
프로그램 일정
| 일시 |
일정 내용
| 비고(장소)
4월~10월
교육1. 단위프로그램에서 2강 선정
학교 내 교실
4월~10월
교육2. 단위프로그램에서 2강 선정
학교 내 교실
4월~10월
교육2. 단위프로그램에서 2강 선정, 정리 및 발표
학교 내 교실
※ 단위프로그램주제 : 자원순환 이론, 교내 쓰레기문제점 진단, 1회용품과 과대포장, 음식물쓰레기, 전자폐기물, 플라스틱 폐기물, 폐기물에너지 등
기관명 (사)자원순환사회연대
& 책임개발자·운영책임자 김미화 · 김주
0 기관정보 A.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5가 28
광화문플래티넘 1217호 T. 02-744-5305 H. www.waste21.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