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 자연환경 | ||
---|---|---|---|
세부주제 | 생태계 | 분류 | 교육영상 |
대상 | 성인기(20세 이상) | ||
제작년도 | 2021 | 재생시간 | 8:03 |
개요 | <9월 비대면 교육자료 설명 영상 내용(9월_황새, 전기)> 안녕하세요. 유아환경교육관 운영교사입니다. 현재 거리두기 3단계로 인해 대면교육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각 유치원, 어린이집에 저희가 드린 환경교육 자료를 받으셔서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시죠? 선생님들이 배포해드리는 비대면 교육자료 활용법 및 내용에 대한 숙지가 필요할 것 같아 이렇게 영상으로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단, 이 ppt는 한차시의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자료들을 엮어놓을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수준과 교사들이 진행하고자 하시는 방법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모두 넣어 놓은 것입니다. 아이들의 수준이나 하시고자하는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필요한 자료만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1. 먼저. 첫페이지에는 ‘푸른 지구 수비대’악보 및 가사판이 보일 거고 음원이 자동으로 흘러나올거에요. 아이들과 함께 들어보면서 불러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두 번째 페이지에 보시면 ‘멸종위기 동물’의 개념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자칫 아이들에게 어려운 개념일 수 있으나 멸종위기 동물의 개념을 명확히 짚어주시고 왜 멸종위기 동물이 생기게 되었는지 이야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다음으로는 한국교원대학교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황새공원 안에서 생활하는 황새들의 모습이 담긴 영상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황새의 모습을 함께 살펴보면서 우리나라 황새의 특징을 살펴보시면서 이야기 나누어 보세요. 4. 다음으로 4페이지에서 12페이지까지는 황새 가족의 내용이 담긴 동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부 황새가 논으로 먹잇감을 구하러갔는데 먹잇감에 농약이 묻어 먹지를 못하고 둥지를 틀 큰 나무들이 많이 사라지면서 갈 곳을 잃어가는 내용입니다. 아이들에게 동화내용을 들려주며 흥미롭게 활동을 시작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5. 다음페이지에서는 이러한 황새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음을 이야기해주면서 황새가 사라지지 않도록 도와달라고 황새가 도움을 요청합니다. 6. 이처럼 황새가 사라지지 않도록 도와주기 위한 방법을 미션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황새들이 사라지지 않게 하기 위해 나무로 만든 물건을 아껴서 사용해주거나 친환경 농산물, 무농약 농산물을 먹어주고 전기를 아껴서 사용하는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어요. 7. 또한, 이와 연결하여 작은 종이나 포스트잇에 황새를 그리거나 황새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적어서 함께 이야기 나누어보는 것도 좋은 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 황새를 위한 환경실천 약속을 적어보는 것도 좋겠네요. 8. 다음으로 이번 달 환경주제인 ‘전기 없는 날’활동과 관련된 교육 자료로 이어집니다. 먼저, ‘어스아워’ 행사에 대한 설명을 해주시면서 추후에 아이들과 함께 참여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꼭 3월 마지막주 토요일이 아니더라도 좋습니다. 9. 또한, 이러한 ‘전기 없는 날’활동을 재미있는 놀이 활동으로 연계하셔도 좋습니다. 암전상태에서 불빛을 낼 수 있는 핑거빔, 야광팔찌, 손전등 등으로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각 기관에서 깜깜한 방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아이들과 놀이를 해보셔도 좋고, 불가능하다면 가정과 연계하여 가정에서 저녁시간을 이용해 활동해볼 수 있도록 안내하셔도 좋습니다. 10. 저희 기관에서는 이렇게 암전된 방에서 핑거빔을 하나 골라 장애물을 통과한 후, 하나의 망에 핑거빔을 모아 큰 불빛을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서 핑거빔 1개 만큼 한명씩, 혹은 한 가정씩 사용하지 않는 방의 불을 하나 꺼주거나 사용하지 않은 전자제품 플러그를 뽑는다면 정말 많은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을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11. 만약, 핑거빔이나 야광팔찌 등의 활용 교구들을 구비하기 힘들다면 사용하지 않는 크레파스와 양초, 재활용할 수 있는 유리병, 플라스틱 용기를 활용하여 양초를 만들어보고 양초를 활용하여 기관이나 가정에서 활용하여 활동에 활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12. 20페이지에서 22페이지에는 전기를 아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그림카드로 넣어두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누어보시거나 약속 카드처럼 활용하여 가정으로 보내어 활용할 수 있게 하셔도 좋고, 언어활동으로 연계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13. 다음으로 아이들과 함께 하는 ‘우리 반의 전기도둑을 찾아라!’활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까 아이들의 포스트잇 그림을 우리 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에너지를 찾아 붙여보는 활동입니다. 얼마나 많은 곳에서 전기에너지가 사용되고 혹은 낭비되고 있는지 아이들과 함께 놀이를 통해 알아보세요. 14. 다음은 아이들과 함께 실천해보는 ‘푸른 지구 수비대’미션입니다. 하루 동안 반의 불을 끄거나 모든 전자 기기의 전원을 끄거나 멀티탭 전원도 끈 상태에서 생활해 보는 거예요. 물론 불편함도 크겠지만 정말 많은 양의 전기를 아낄 수 있겠죠? 각 반마다 전기 제로 날을 지정하여 실천해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예를 들면 마지막주 금요일은 전기 제로의 날! 이렇게 정해두는 거죠. 아이들과 함께 직접 실천으로 꼭 옮겨보시기를 바랍니다. 15. 다음은 수도권대기환경청에서 보내주신 미세먼지 율동영상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미세먼지 관련 활동이나 환경교육 활동에 연계하여 활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6. 이러한 유치원, 어린이집, 가정에서의 다양한 활동도 중요하지만 사실, 우리 주변 환경이 지금 어떠한 상태인지, 혹은 동․식물들이 살고 있는 자연환경은 어떠한지 정말 황새가 둥지를 틀고 먹이를 사냥할 수가 없는지 아이들과 실제로 볼 수 있는 기회가 꼭 필요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이들과 함께 주변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가서 동물들의 서식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꼭 주세요. 17.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양한 활동과 아이들이 실행한 미션들이 있다면 함께 보내드린 만족도 조사지에 함께 첨부하여 보내주세요. 이 다음의 환경교육 자료 개선을 위한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유익한 환경교육이 되시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출처 | 충북권유아환경교육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