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지식사전] 동물권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환경문화
세부주제 생명윤리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10-01 18:29:25 조회수 2,992

동물권이라는 단어. 조금은 생소하신가요?

사람은 인권이 있듯이 동물에게도 동물권이 있습니다.

모든 동물은 생명권을 지니고 있으며 고통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갖고 있어요.

동물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동물권동물권이란?
동물권은 동물에게 주어지는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인권을 확장한 개념으로 인간과 같이 동물들도
생명권을 지니며 고통을 피하고 학대당하지 않을 권리 등을
지니고 있다는 개념을 말합니다.동물권이 필요한 이유
오랫동안 동물은 인간의 도구로 쓰였습니다.
인간이 필요하면 살과 가죽이 뜯겼고, 장난감이 되었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동물도 인과가 같이 행복과 고통을
느끼는 생명체라는 인식이 점차 퍼지기 시작했죠.
현재 수많은 동물들이 인간의 필요 때문에 불필요한 고통을 받고 있어요.헌법에 동물권을 명시하자는 움직임

“동물 보호는 국가의 책임이며, 헌법에 명시해야 한다.”
지난 9월 청와대에서는 민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동물은 물건이 아님'을 선언하는 조항을 신설했어요.

그동안 강아지 공장, 동물 대량 살처분 등과 관련해서
국가의 책임이 명시되지 않아 문제 개선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헌법에 명시될 경우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한국에 앞서 스위스, 독일, 에콰도르 등이 동물 보호를 헌법에 규정했어요.동물은 인간의 일방적인 착취와 이용에서 벗어나고,
존엄한 생명으로서 존중받아야 합니다.
동물권을 보호해 모든 생명이
함께 공존하는 세상이 오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