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지식사전] 화이트 바이오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환경문화
세부주제 지속가능발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7-19 17:38:25 조회수 1,063

아스팔트가 화석연료를 화학적으로 가공해 만들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그런데 플라스틱, 합성섬유, 세제, 화장품은요?

오늘은 석유화학 산업을 대체하는 깨끗한 기술

화이트 바이오에 대해 알아봐요!


[환경지식사전] 화이트 바이오화이트 바이오 : 바이오 화학 산업.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을 원료로 화학제품 또는 바이오 연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효소와 발효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화학물질과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에요!화이트 바이오가 미래를 깨끗하게 만드는 방법

석유화학 제품은 화석연료를 태우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대기 오염 물질이 배출됩니다.
⇩
화이트 바이오는 식물 자원을 이용하여,
제품 생산 과정에서 비교적 탄소 배출량이 적어요.
+
원재료인 식물은 재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대표적인 화이트 바이오 제품

①바이오 연료
콩이나 유채 같은 식물의 기름을 원료로 만들어요.
경유와 섞어 사용하거나,
바이오 연료만으로도 자동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의무적으로
바이오 연료 3%를 경유와 섞어 쓰도록 하고 있어요.

➁바이오 플라스틱
(생물학적 활성, 특히 토양 속 박테리아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는 것을 의미)
바이오 플라스틱은 ↜생분해되는 플라스틱이에요.
미생물 합성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만든 빨대, 컵 등은
땅은 물론 바다에서도 100% 분해된다고 해요.이외에 화이트 바이오는
색소나 염료, 향료 분야에도 사용되고
기능성 효소로 식품첨가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2020년 대한민국은 화이트 바이오 연구 투자를 확대하고
전문인력 육성에 힘쓰기로 했어요.
국내 바이오·석유화학 기업들도 협의체를 구성하여
화이트 바이오산업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화이트’ 바이오에는 공장의 검은 연기를
하얀색으로 바꿀 수 있다는 희망이 담겨있어요.

모두의 노력이 미래를 깨끗하게 바꾸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