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비점오염원] 환경 고오-급 딕셔널E - 비점오염원 용어Ⅰ-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자연환경
세부주제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28 10:46:08 조회수 749

 물

환경교육용어사전
고오-급 딕셔널E(Environment)

「강우유출수 광산폐수 담수호 
불투수층 부영양화」

탄소중립설명


#1
강우유출수 (Rainfall Effluent)
발음 [강ː우유출쑤]

『명사』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공식 블로그
「1」 빗물 혹은 눈 녹은 물이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된 수질오염물질과 섞여서 유출되는 것
- 강우유출수는 초기에는 비점오염물질을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초기세척효과로 인해 강우 후반으로 갈수록 깨끗해진다.
- 비점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포함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비점오염물질
1.토사 2.영양물질 3.박테리아와 바이러스 4.기름과 그리스 5.금속 6.유기물질 7.살충제 8.협잡물 

#2
광산폐수(Mine Waste Water)
발음 [광ː산페ː수]

『명사』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공식 블로그
「1」 광산이나 폐석, 광물찌꺼기 적치장 및 제련소로부터 배출하는 폐수
- 광산폐수는 적정 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하천에 적갈색 또는 흰 침전물을 발생시켜 시각적 혐오를 주기도 하며, 생물농축으로 인한 중금속 중독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광산폐수
광산폐수에는 황산염, 알칼리, 중금속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 처리 폐수를 청정한 물로 희석하여 유해 성분의 농도를 허용 한도 이하로 낮춰 방류하는 희석방류법이 있으며,
광물표면이 가지는 특유한 성질 차이를 이용하여 비중과는 관계없이 어떠한 광물들을 물 위에 띄우고 나머지 광물들을 물속에 남겨 둬서 분리하는 부유선광법이 있다. 

#3
담수호 (Freshwater Lake)
발음 [담ː수호]

『명사』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공식 블로그
「1」 염분의 함유량이 1L 중 500mg 이하인 호수
- 담수호는 습윤지에 많이 존재하며, 건조, 화산, 해안지역의 호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호수를 담수호라고 한다.
- 담수호였던 시화호는 주변 공장 폐수와 생활 하수 등의 수질오염물질로 인하여 심각한 오염 상태를 보여줬으며, 이를 죽음의 호수라고 불렀던 적이 있었다.
- 고
*담수호
담수호에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존재한다.
플랑크톤과 규조류 등의 생물이 존재해 이의 유체가 가라앉아
규조토가 되기도 한다.
 

#4
불투수층(Impermeable Layer)
발음 [불투수층]

『명사』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공식 블로그
「1」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 등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된 도로, 주차장 등을 말한다.

- 비점오염물질이 일반 녹지에서는 강우의 15%만이 유출되는 반면
불투수층이 많은 도시지역에서는 55~70%가 유출된다.
- 도시지역에서 불투수 면적을 줄이고, 저영향개발(LID)을 이용해 수질 개선과 경관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도록 해야 한다. 

#5
부영양화(Eutrophication)
발음 [부ː영양화]

『명사』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공식 블로그
「1」 부영양화는 영양물질이 풍부하게 공급되었다는 의미로 강이나 호수, 바다에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풍부해진 것을 의미한다.
-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오는 토사와 가축분뇨 등의 유입도 부영양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 영양물질농도가 증가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 및 부패가 증가하여 다량의 산소가 부족해 주변 물고기가 폐사할 수 있다.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만드는 환경교육포털(www.kee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