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탄소중립Life] 탈석탄을 실천 중인 시멘트 회사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지구환경,환경문화
세부주제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지속가능발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14 19:49:22 조회수 1,227

폐플라스틱이 어디에 재활용되고 있는지 아시나요?

오늘은 폐플라스틱 재활용으로 만들어지는 시멘트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탄소중립Life] 탈석탄을 실천 중인 시멘트 회사 시멘트 생산과 환경오염


시멘트 생산 과정
석회석 채굴
⇨
석회석 가열
⇨
가열 석회석 냉각
⇨
시멘트 완제품
산림·토양 환경 오염
이산화탄소 배출



시멘트 1t 생산
석회석
:
시멘트
:
이산화탄소
1.15t
1t
0.8t 배출

1억 원 분량의 시멘트 생산
석회석
:
 시멘트
:
이산화탄소
458.16t
398.4t
498t


시멘트 산업은 대한민국 산업 중 매출액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높은 산업이라고 해요.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시멘트 업계의 노력!
폐플라스틱 재활용


폐플라스틱, 폐고무, 폐목재 등 가연성 폐기물 열량
7,500kcal


시멘트 업계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석회석을 가열 과정의 보조 연료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어요.
석회석 가열 과정은 2,000℃가 넘어 폐기물을 완전히 녹이기 때문에 
폐플라스틱을 연료로 사용하더라도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요. 
유연탄보다 질소 함유량이 적은 폐합성수지를 연료로 사용하면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의 배출량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에너지가 허투루 버려지지 않도록

석회석 가열 과정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열
'폐열(Waste Heat)'

충북 단양의 한 시멘트 생산 공장은 
폐열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고 있어요. 
폐열 발전 시설은 시멘트 생산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30%를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 시멘트 업계의 폐플라스틱 재활용률
2016년 125만t
⇨
2020년 172만t


대표적인 시멘트 생산 업체들도
탄소중립을 위한 목표를 세우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어요. 

시멘트가 친환경 건축 자재로 주목받을 미래가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