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10월 16일 세계 식량의 날_식량의 중요성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지구환경
세부주제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분류 인포그래픽 교육대상 성인기(20세 이상)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10-15 17:00:07 조회수 1,442

[제목: 10월 16일 세계 식량의 날_식량의 중요성]
세계 식량의 날 : 매년 10월 16일로, 1980년에 유엔 총회의 결의를 통해 제정되었습니다. 식량안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식량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협력을 촉진하는 날입니다.
식량을 소중히 여길 수 있고 탄소 저감을 할 수 있는 실천방안들을 소개하겠습니다.

[식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1/4는 식품 생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생산하는 식품의 약 1/3은 그냥 버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음식물을 폐기 처리하는 과정에서 엄청나게 많은 온실가스가 배출된다고 합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푸드시스템 전환은 우리들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연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은 약 522만 톤이며,
분야별 발생량은 가정이 76%, 
음식점이 17%, 사업장이 7% 수준입니다.
(실천 방법)
식단계획과 유통기한을 고려해 최소한의 식재료만 구입하기
식재료는 한 끼 분량으로 나누어 투명용기에 보관하기
음식은 인원에 맞춰 주문하고, 먹지 않을 반찬은 미리 반납하기
식당에서 음식을 남겼을 경우 다회용 용기에 포장하기
길이가 긴 채소류와 큰 수박껍질 등은 잘게 썰어 배출하기
찌개류는 국물을 버리고 찌꺼기의 물기를 제거한 후 배출하기

(실천 효과)
1인당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4.3kg
국내 총 인구의 10%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22,265t
경제적 효과 5.5억원
나무 심는 효과 2,446,703 그루

[저탄소 인증 농축산물 이용하기]
농축산물을 생산·유통·보관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므로 제품 구매 시 탄소 배출이 적은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실천방법)
농축산물은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 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기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 마크 및 인증 제품 사진]

(살천 효과)
1인당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38kg
국내 총 인구의 10%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7,146t
경제적 효과 1.7억원
나무 심는 효과 785,275 그루

[우리나라, 우리 지역 식재료 이용하기]
않을 반찬은 미리 반납하기
식재료는 생산·유통·보관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므로 수입산보다는 국내산을, 먼 지역보다는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한 것을 구매하는 소비 습관이 필요합니다.

(실천효과)
국내에서 생상된 농축수산물 구매하기
지역 농산물 매장 이용하기
텃밭 또는 화분과 같은 용기를 이용해 채소를 직접 키워 먹기

[국내산 소고기와 수입산 소고기의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국내산 소고기   수입산 소고기
 27.75kg         108.2kg
(실천효과)
1인당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130.8kg
국내 총 인구의 10% :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량 677,272t
경제적 효과 166.7억원
나무 심는 효과 74,425,495 그루


자료 출처 : 한국환경공단 블로그
자료 출처 : 환경부 탄소중립 생활 실천 안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