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정보통] 우주 쓰레기, 들어보셨나요?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생활환경,자연환경,환경문화
세부주제 지속가능발전,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27 18:37:54 조회수 1,314

우주를 한 번 상상해 봐요.

붉고 푸르며, 때로는 하얀 별과 끝없이 펼쳐진 어두운 빈 공간이 떠오르나요?

우주의 시작에서 우리는 무엇을 만날 수 있을까요?


[환경정보통] 우주 쓰레기, 들어보셨나요? 머리 위로 80㎞, 우주의 시작에서 만날 수 있는 것


2021년 지구 궤도 인공우주물체
약 2만 3,000개

10% 
인공위성 
약 2,300개




90%
우주 쓰레기
약 20,700개


막 우주에 도착한 우주인이 가장 처음 만날 수 있는 것은, 
아이러니 하게도 지구의 물건일 확률이 커요. 
그것도, 쓰레기일 확률이 더 높습니다. 

1㎝이하의 우주 쓰레기까지 전부 세면 
1억 개 이상의 우주 쓰레기가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해요. 우주에 쓰레기가 있는 이유

1957년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
⇨
64년 후
2021년
1만 1,000대의 인공위성 발사
민간 분야의 우주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2020년 한 해에만 약 1,200대의 인공위성을 발사


인공위성은 수명이 다하면 우주 쓰레기가 돼요. 
또, 인공위성을 우주까지 실어 날은 로켓의 전해들도 우주 쓰레기가 됩니다. 
우주 쓰레기는 쉽게 썩지 않고 남은 연료가 팽창하여 폭발하거나, 
우주 쓰레기들끼리 서로 부딪히며 더욱 작은 우주 쓰레기로 변한다고 해요.지구로 추락하는 우주 쓰레기


지구 중력에 이끌려
추락하는 우주 쓰레기
우주 물체의 추락으로 
죽거나 다칠 확률
한 해 
약 100t
1/10,000~1/270,000

(1일 기준, 한국천문연구원)
· 1997년 미국, 산책하던 행인이 추락하는 우주 쓰레기에 맞음
· 1979년 호주에서 우주 정거장의 잔해가 가정집에 추락

 
추락한 우주 쓰레기는 대부분 대기권에서 공기와 마찰하며 불타 사라지지만, 
일부는 땅으로 추락해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우주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①일본
자석이 달린 인공위성을 쏘아 올려, 우주 쓰레기를 포집하고 
지구 대기권으로 낙하시켜 불태우는 방식을 연구 중입니다. 

②유럽항공우주국(European Space Agency, ESA)
2025년까지 로봇 팔이 달린 청소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예정입니다. 

③대한민국
2020년 7월 ‘우주 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안’을 발표하고 
중장기적으로 우주 쓰레기를 포집하는 기술을 개발해 나가기로 했어요.우주 쓰레기는 미래로 향하는 장애물이기도 해요. 
총알보다 10배나 빠른 초속 7~9㎞로 날아다니는 우주 쓰레기는 
인류의 우주 진출에 큰 위험입니다. 
우리의 미래가 쓰레기에 막혀 나아가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우주 환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