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에코차트] 청정 수돗물!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자연환경
세부주제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10-07 14:51:34 조회수 1,259

가끔 수돗물 악취에 대한 뉴스가 나올 때마다

수원지로 흘러 들어가는 산업폐수가 걱정스러워져요.

산업폐수는 어떤 기준으로 배출되는 걸까요?


[에코차트] 청정 수돗물!특별 관리가 필요한 산업폐수 산업폐수는 일반 가정이나 각종 시설에서 일생생활을 하며 버려지는 생활하수, 가축을 사육하며 발생하는 가축폐수와 함께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3대 오염원 중 하나예요.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를 의미해요.

전국 수질 오염 물질 일일 배출량은 생활하수 58.3%, 산업폐수 41.2%, 축산폐수0.5%예요. 산업폐수는 생활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출량이 적지만 다양하고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과 유해물질이 녹아있어 특별히 법률로 규제하고 있어요.얼마나 많은 폐수가 배출되고 있을까? 폐수를 배출하는 시설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2012년 5만 개를 돌파하며, 2019년까지 5만 개 이상을 유지했어요. 산업폐수 배출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하루에 무려 387만4천t의 산업폐수가 배출되었습니다.
이렇게 배출되는 폐수의 36.5%는 지자체 등이 만든 공동 처리 시설에서 정화되고 38%는 발생한 폐수를 재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폐수를 배출하지 않아요. 나머지 24.7%는 ‘물환경보전법’의 감시 아래 자체적인 정화시설을 통해 배출해요.
꼼꼼한 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 환경부는 수질 등급, 지역별 사업장 규모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세분되어있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요.

대상규모
1일 폐수배출량 2천m³ 이상
1일 폐수배출량 2천m³ 미만
지역구분 항목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
(mg/L)
부유 물질량
(mg/L)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
(mg/L)
부유 물질량
(mg/L)
청정지역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40 이하
50 이하
40 이하
가지역
60 이하
70 이하
60 이하
80 이하
90 이하
80 이하
나지역
80 이하
90 이하
80 이하
12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특례지역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30 이하
40 이하
30 이하
출처 :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지역구분 항목은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의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등급에 따라 구분돼요.대한민국의 수돗물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90개 기준보다 많은 120~250개 항목에 대해 꼼꼼하고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어요. 그뿐만 아니라 2013년 진행된 세계물맛대회에선 7위에 올랐답니다!
안전하고 맛도 좋은 수돗물과 함께 오늘부터 수질 환경 보호를 시작해 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