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친환경Life_친환경 김장으로 지구 지키기!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생활환경,자연환경
세부주제 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11-12 19:37:56 조회수 1,201

김장철이 찾아왔습니다.

한 해를 보낼 김장을 하다 보면,

음식물 쓰레기도 잔뜩 생기기 마련인데요.

오늘은 김장철 쓰레기 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친환경Life] 친환경 김장으로 지구 지키기!버려지기 위해 만들어지는 음식

음식은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예요. 그렇지만 인류를 위한 음식은 너무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UNEP)의 ‘음식물 쓰레기 지표 보고서 2021’에 따르면 2019년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약 9억 3,100만t에 달한다고 해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음식의 약 17%가 그대로 버려지는 셈입니다.
이렇게 많은 음식물 쓰레기는 다 어디서 버려지는 걸까요? 식료품점에서 다 팔지 못하고 버려지거나, 식당에서 버려지는 걸까요? 아닙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율은 일반 가정이 61%로 가장 높고 외식산업이 26%, 소매업이 13%를 차지한다고 해요.음식물 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는 하루에만 약 1만 5,903t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한다고 해요. 전체 음식물의 약 1/7이 버려지는 셈으로, 하루에 발생하는 생활 폐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폐수와 악취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처리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발생하기도 해요. 4인 가족, 한 가정 기준으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약 724㎏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고 해요. 승용차 한 대가 서울-부산을 4.8회 왕복할 때 나오는 온실가스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이만큼의 온실가스를 흡수하려면 소나무 149그루가 1년 동안 온실가스를 흡수해야 한다고 해요. 친환경 김장으로 지구 지키기

김장에도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데요. 음식물 쓰레기 20%만 줄여도 연간 177만t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하니, 맛있는 김치 담그기와 함께 지구 지키기도 놓칠 수 없겠죠?

①김장 담그기 전에 필요한 재료를 미리 확인하면, 집에 있는 재료를 또 사지 않을 수 있어요.
②김장 후 남은 자투리 채소 활용하기! 환경부의 그린레시피(https://han.gl/mYoto)를 참고하면 자투리 채소로도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어요.
③음식물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 구분하기! 향이나 매운맛이 강한 파, 미나리 등의 뿌리, 마늘대, 고추대, 고추씨 등은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 일반 쓰레기라고 해요!김장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지자체마다 김장 쓰레기 특별 수거 기간을 운영하기도 해요. 하지만 김장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최고의 방법은 먹을 만큼만 구매해서 김치를 담그는 것입니다!
이번 겨울은 친환경 김장으로 한 해를 준비해 보는 것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