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지식사전] 해양 투기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생활환경,자연환경
세부주제 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7-26 15:59:56 조회수 1,244

우리 편의대로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

해양 투기에 대해 알아볼게요


[환경지식사전] 해양 투기해양 투기 : 폐기물을 비롯한 이물질을 선박, 항공기, 인공구조물 등에서 고의로 해양에 폐기 처분하는 행위. = 해양투입

해양에 버려진 쓰레기는 회수가 어렵고
중금속 등을 배출해 생태계를 파괴해요.대표적인 해양 투기물

① 육상 유입 폐기물
휴양지, 생활 쓰레기, 오니, 산업폐기물 등
(오니 설명 : ↳하수처리, 정수과정에서 생긴 침전물) 

② 해상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선박이나 해양시설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폐어구, 폐어선, 스티로폼 부자 등

③ 외국에서 이동한 폐기물
외국에서 발생한 해양 투기물이 해류를 따라 이동해 온 경우해양 투기 28년

우리나라는
육상처리시설 부족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처리비용,
악취 발생 문제가 적다는 등의 이유로

1988년
유해성이 적고 쉽게 분해·확산 되는 폐기물만
해양 투기를 허용했어요.

2016년
해양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런던협약에 가입하면
28년간 자행되던 해양 투기를
전면금지했습니다.1988년 552t ⇨ 2005년 9,929t ⇨ 2016년 ‘0’

’91년부터 연평균 16%씩 증가하던 육상폐기물의 해양 투기는
’06년 해양투기 종합관리대책이 시작되면서
연평균 31%씩 줄어들었어요.
그리고 마침내 2016년,
우리는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제로화를 달성하게 됩니다. 하지만, 해양에 버려진
1억3,388만1,000t의 쓰레기는 사라지지 않아요.

행동하는 우리의 노력만이 바다를 다시 깨끗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