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탄소중립Life] 이산화탄소의 저장 창고, 바다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자연환경,지구환경
세부주제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생태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29 17:48:08 조회수 1,697

33만 종의 생물이 사는 바다는

인류에게 수산 식량과 다양한 해양 자원을 제공하고 있어요.

그뿐만 아니라 기후에 치명적인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저장 창고이기도 하답니다


[탄소중립Life] 이산화탄소의 저장 창고, 바다바다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바다의 넓이
= 지구 표면의 약 
71%
약 3억 6,100만㎢


바다는 아주 오래전, 원시 지구 내부의 수증기와 가스가 
화산 활동을 통해 지표면으로 분출되었고 
비가 되어 내리면서 물이 괴어 바다가 만들어졌어요.화석연료와 이산화탄소

산업혁명 이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280±10ppm


산업혁명
2013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400ppm 이상


1ppm = 1/1백만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 주요 원인 = 화석연료의 채굴과 사용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각 표층부⤵
지구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많이 저장된 곳은 암석권이에요. 
화석연료는 암석권 탄소의 일부분으로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암석권에 저장되어 있던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된 것이랍니다.바다가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방법

①역학 펌프
바닷물의 온도 차이와 염분 차이로 인한 
해류 순환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심해로 이동하는 현상이에요. 
주로 극지방 등에서 일어난답니다.

②생물 펌프
식물성 플랑크톤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은 바다 생물의 유해나 배설물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심해에 저장되는 현상입니다. ‘생물 펌프’ 현상은 대표 사례 - 고래

생명체는 모두 체내에 일정량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데, 
고래는 약 33t의 이산화탄소를 체내에 저장한다고 해요. 
고래의 체내에 저장된 33t의 이산화탄소는 
고래의 유해와 함께 심해로 가라앉는답니다.

또, 고래의 배설물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도와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40%인 370억t을 흡수하고 
해양 생물 먹이사슬의 기반이 됩니다. 이산화탄소의 저장 창고 바다! 

하지만 지나치게 이산화탄소 저장량이 많아지면서 
바다가 점점 산성화되고 있어요.
 바다의 산성화가 심해지면 ‘생물 펌프’ 현상을 일으키는 
먹이사슬이 파괴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기후와 바다를 지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자체를 줄이는 방법이에요. 
바다와 우리의 미래를 위해 오늘도 탄소중립에 함께 노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