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정보통_바다 위 쓰레기통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생활환경,자연환경
세부주제 폐기물 및 자원순환,생태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11-01 18:04:17 조회수 2,007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것이라는

충격적인 얘기를 아시나요?

환경은 물론 인류에게도 악영향을 주는 바다 쓰레기,

우리는 바다 쓰레기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환경정보통_바다-위-쓰레기통바다의 쓰레기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시중에 판매되는 어패류의 미세 플라스틱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100g당 최소 7개에서 34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 매년 10만 마리 이상의 해양 포유류와 100만 마리 이상의 바닷새가 폐그물 등의 해양 쓰레기로 생존의 위협 바다 쓰레기 경제적 피해 연간 3,787억의 경제적 피해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로 인한 안전사고도 매년 약 350건바다 쓰레기는 바다 위 쓰레기통에 씨빈(Seabin)
씨빈은 바다를 의미하는 Sea와 쓰레기통을 의미하는Bin을 합친 말이에요. 씨빈은 이름 그대로 바다의 쓰레기통이랍니다.
호주에서 만들어진 씨빈은 항구, 선착장 등 육지 근처이면서 쓰레기가 많이 버려지는 바다에 설치돼요. 이후, 육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바닷물과 함께 주변 쓰레기를 흡입합니다. 씨빈 내부에는 쓰레기, 기름, 세제를 걸러내는 필터가 설치되어 있어 바닷물은 다시 밖으로 흘려보내고 쓰레기만 걸러 모을 수 있어요. 씨빈은 24시간 작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눈에 잘 보이지 않는 2㎜ 이하 미세 플라스틱도 수거할 수 있어요. 씨빈은 하루에 약 3.9㎏, 1년에 1.4t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전 세계 860개가 설치된 씨빈은 현재까지 총 220만 9,776㎏의 쓰레기를 수거했다고 해요.②인터셉터(interceptor)
인터셉터는 사람이 필요하지 않은 무인선으로, 물 위를 떠다니며 컨베이어 벨트로 바다 쓰레기를 수거합니다. 수거된 쓰레기는 인터셉트 컨베이어 벨트 끝의 쓰레기통에 모이고 사람의 역할은 주기적으로 쓰레기통을 비워 주기면 하면 끝이에요. 
태양열을 이용하는 인터셉터는 작동 시 환경오염 걱정이 적고 하루 최대 50t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③젤리피쉬봇(Jellyfishbot)
프랑스에서 개발된 젤리피쉬봇은 항구 주변의 바다를 떠다니며 본체에 달린 그물망에 쓰레기를 수거해요.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원격 조종 방식이라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 여행용 캐리어 정도의 작은 크기지만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게 장점이에요.태평양의 바다 쓰레기가 모인 ‘쓰레기 지대’는 무게로 환산하면 약 7만 9,000t 이른다고 해요. 이 쓰레기 지대의 넓이는 약 180만㎢로 한국 면적의 16배에 달합니다. 하지만 쓰레기 지대의 쓰레기를 전부 수거하더라도 수거한 쓰레기의 처리 방법은 또 다른 문제가 돼요. 바다 쓰레기를 청소하는 새로운 기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우리가 배출하는 쓰레기를 줄여야하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