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에코잡] 야생동물재활사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자연환경,환경문화
세부주제 생명윤리,생태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24 18:59:32 조회수 1,750

야생 동물이 다치거나 몸이 아프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야생 동물의 119구급대! 야생동물재활사에 대해 알아봐요!

 

[에코잡] 야생동물재활사구조부터 야생 복귀까지, 야생동물재활사가 하는 일


구조신고
⇨
구조활동
⇨
야생동물구조센터
각 시·군청
야생동물보호협회
일반인
종, 상태, 주변 환경 파악
정밀 진단 및
수의사 판단에 따라 치료


야생동물재활사는 다친 야생동물을 구조하고 치료하여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일을 해요.구조부터 야생 복귀까지, 야생동물재활사가 하는 일

치료가 끝난 야생 동물을 야생에 복귀시키기 위해 재활 훈련도 담당합니다. 
재활 훈련은 야생 동물의 부상 정도에 따라 방법과 기간이 달라진다고 해요. 
간단한 응급처치를 받은 야생 동물이라면 두 달 정도로 끝나지만, 
철새의 경우 이동기에 맞추어 더 오랜 기간 보살피기도 한답니다.야생동물재활사가 되려면?

반드시 수의학과를 나올 필요는 없지만, 
대학에서 생물이나 동물 관련 학과를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해요. 

이외에도 야생동물재활 관련 교육 기관에서 
야생 동물 구조, 치료, 관리 교육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 동물병원 등이나 야생동물보호협회에서 
동물 재활 분야의 역량을 쌓는 것도재활
야생동물재활사가 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해요.2021년 9월 기준 공공데이터포털의 
‘전국야생동물구조센터정보표준데이터’에
등록된 야생동물센터는 총 57곳이에요. 
자연과 야생 동물 보호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야생동물재활사의 진로 전망도 밝아지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