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탄소중립Life] 탄소중립도시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지구환경,환경문화
세부주제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지속가능발전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9-28 20:33:31 조회수 1,858

세계 곳곳에서 탄소제로 도시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탄소 제로 도시는 이산화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거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청정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막는 탄소중립 실천 도시를 말해요.

세계 각국은 어떻게 탄소제로 도시를 추진하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탄소중립Life_탄소중립도시영국 베드제드
영국 런던의 베드제드(Bed ZED)는 최초의 탄소중립 복합개발 도시입니다.
런던의 대표적인 저탄소 주택단지로, Beddington Zero-fossil Energy Development의 약자인데요. 가동이 중단된 오수처리 부지에 조성된 것이 특징입니다. 2002년 완공된 베드제드 주거지역은 약 100채의 단독·연립 주택으로 이뤄졌으며, 태양열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동력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마스다르
마스다르는 아랍에미리트의 대표적인 탄소제로 도시로, 태양에너지로 움직이는 거대한 친환경 도시로 유명합니다. 마스다르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운행이 금지되어 있어요. 도시 운영에 필요한 모든 동력을 태양열, 풍력, 수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하죠.국내의 탄소중립도시
우리나라도 2050년 탄소중립 시대에 맞는 미래 도시 모델을 만들고,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는 세종시입니다. 
세종시에는 간선급행버스체계 바로타(BRT)가 있습니다.
버스운행에 철도 시스템의 특징과 장점을 도입한 것인데요. 바로타 정류장 상부에 태양광을 설치해 사용 에너지의 20%를 절감하고 있어요.
또한 고효율 저 에너지 소비와 동시에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건축물인 제로에너지 빌딩 건축에 힘쓰고 있습니다.세계 각국의 나라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탄소중립 도시를 만들어 화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죠.
우리의 크고 작은 노력이 모인다면 조금 더 나은 미래, 녹색 지구의 미래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