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환경 다큐멘터리] 아름다웠던 토양, 지금 현재는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지구환경
세부주제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4-20 17:56:59 조회수 1,233

기후변화
환경 다큐멘터리
아름다웠던 토양 지금 현재는 ,
영화 대지에 입맞춤을 ‘ ’
전체관람가 

#1
산업화로 인하여 무분별한 에너지 소비와 개발은
기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결국 지구의 생명체는 멸종을 겪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토양을 살린다면 기후의 균형을 회복이 되고
모든 것이 건강해질 것입니다. 

#2
언제부터 땅이 망가지기 시작하였을지에 대해 여러 가지
추측이 있는 가운데 원인은 쟁기의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토양침식은 토양이 흙먼지가 되는 것입니다.
사상 최대인 토양침식으로 년대 미국 황진지대에서 재해 1930
경험을 하였고 토양 보호청을 만들어 토양을 보호하기
시작했습니다. 

#3
우리에게 들려오는 탄소라는 것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탄소는 지구에 사는 모든 생명의 기반입니다 . .
탄소가 있기에 에너지를 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식물을 섭취해 얻거나 식물을 먹은 동물을
섭취해서 얻었습니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탄소로 바꾸어 에너지로 쓰이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4
거기다가 식물이 탄소 연료를 얻으면 는 뿌리로 내려가고 40%
거기에 있는 토양 미생물들에게 탄소를 먹이고 있는
것입니다.
토양 미생물은 토양 속에 유기물을 가공해 식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주면서 생명이 살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4
이러한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이 인간 체내에서도 영향을
줍니다.
인간의 몸속에는 인간 세포보다 세균 세포가 많습니다.
1% 99% . 만이 인간이고 은 미생물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음식을 먹는 이유는 우리 몸속에 세균들에게 공급하고
세균들은 가공해서 배출한 물질들을 우리가 섭취를 하여
영양분을 얻는 것입니다. 

토양 미생물은 없어선 안될 존재
토양이 망가진다면 미생물들은 더 이상 살 수가 없어
토양은 사막화가 진행되고 생명체는 영양분을 얻을 수가 없어
생태계가 무너집니다.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 우리가 해야 될 것은
무엇일지 알아봐야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해결책은 영화 대지에 입맞춤을 에서 볼 ‘ ’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기후변화를 이겨내고 토양을 살려내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만드는
환경교육포털(www.keep.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