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교육자료

[친환경 Life] 카페 일회용컵은 재활용이 안된다고?

교육자료 상세 정보로 주제,세부주제, 분류, 교육대상, 출처, 작성일자, 조회수, 내용에 대한 정보 제공
주제 생활환경,자연환경
세부주제 폐기물 및 자원순환
분류 카드뉴스 교육대상 아동기(8~13세),청소년기(14~19세),성인기(20세 이상),유아기(7세이하)
출처 국가환경교육센터
작성일자 2021-06-18 17:26:57 조회수 2,164


커피는 대한민국 성인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예요.

하지만카페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컵의 재활용 비율은 5% 미만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재활용 수치가 낮은지함께 알아볼까요?


[  친환경Life] 카페 일회용컵은 재활용이 안된다고 ?[ ] 서론
커피는 대한민국 성인이 가장 좋아하는 음료예요 인당 연간 1 350잔의 커피를 마신다고 하 . 
니까 하루에 한 잔씩 마신 꼴이랍니다 주 회 이상 카페를 방문하는 비율은 1 87%나 된다 , . 
고 하는데요 커피 프랜차이즈도 여 71,000 . !개나 됩니다 하지만 이 많은 카페에서 사용되 . 
는 일회용 플라스틱컵의 재활용 비율은 5% !미만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렇게 재활용 수치가 
낮은지 함께 알아볼까요 , ?
카페에서 주로 사용되는 일회용 플라스틱컵은 대부분 카페 로고가 박혀있는데요 대한민국 .
에 처음 카페 문화를 알리기 시작한 프랜차이즈가 유행시킨 브랜딩 전략이에요 하지만 플 .
라스틱컵의 원료인 는 투명하지 않으면 재활용이 힘들어요 불순물이 섞여 있어 섬유 PET .
원료에 적합하지 않고 유색 는 무색 와 성질이 달라 무색 의 품질까지 떨어트려 , PET PET PET
요.
‘ ’ PP 일회용품 줄이기 자발적 협약 에 참가하지 않은 카페 프랜차이즈는 여전히 를 원료로 하
는 플라스틱 컵을 사용해요 재활용품 선별장은 사람이 직접 분류하기 때문에 재질이 다르면 솎아내기 어렵답니다.
유색의 로고와 다양한 색깔의 비닐 뚜껑을 사용하면 재활용이 더욱 어려워요
대한민국 점포 수 위의 카페 프랜차이즈는 2019 년부터 친환경 컵을 도입했어요 이 카페 1 .
프랜차이즈는 잉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카페 프랜차이즈의 이름을 알리고 있어요 플라 .
스틱컵 뚜껑에 카페 프랜차이즈의 이름을 양각으로 새기는 방법이랍니다.정부는 내년부터 일회용컵 보증금제 를 시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에요 14년 만에 부활하는 ‘ ’ . 
‘ ’ . 일회용컵 보증금제 는 소비자가 일회용컵을 반환하면 보증금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이에
더해 생산자 책임인 재활용 포장재 두께 포장 무게 비율 기준을 신설하는 등 생산부터 재 , ,
활용을 염두에 둔 포장재를 만들도록 논의 중이에요재활용 안 되는 건 페트병만이 아니야! 빨간 국물이 스며든 컵라면 용기는 어떨까요 재활용 기준에는 제거할 수 없는 이물질이 ? ‘
묻거나 오염된 용기는 재활용할 수 없다 라는 기준이 있어요 물로 헹궈 깨끗하게 씻어내더 .’ .
라도 이물질이 스며들어 있는 스티로폼은 재활용할 수 없어요 깨끗한 스티로폼이라도 비닐 .
뚜껑이나 상표를 완전히 떼어내고 배출해야 해요 하지만 다른 재질로 코팅되어 있다면 재 .
활용할 수 없답니다.
종이도 마찬가지예요 예를 들어 택배박스는 테이프 송장번호 등 종이가 아닌 이물질을 전 . ,
부 제거하고 배출해야 해요 노트 등도 스프링 같은 종이 이외의 재질은 제거 후에 배출해 .
야 한답니다
어려울 수 있지만 집에서 차 재활용 선별을 한다고 생각하면 편해요 그래도 헷갈린다면 , 1 . ?
2003 ‘ ’ ! ‘ ’ , 년부터 시작된 분리배출 표시제도 를 확인하면 돼요 분리배출 표시제도 는 금속 유
리 종이 플라스틱 등 제품의 재활용 재질과 분리배출 여부를 표시하는 제도예요 제품 겉 , , .
면 표기를 살펴보고 표기에 맞게 분리배출 표기가 없다면 일반 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담 ,
아 버리면 된답니다 재활용과 일반쓰레기만 잘 구분해도 종량제봉투 구매비용을 연간 약 . 3
천억 원 정도 아낄 수 있어요.작년 크리스마스부터 가정에서도 투명페트병을 별도 배출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 ?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을 통해 연 의 재활용 원료 확보를 기대하고 있어요 올바른 100,000t .
분리배출이란 경제와 환경 모두를 생각하는 친환경 습관이랍니다 ,